본문 바로가기
정책

2025 설 명절 종합 대책

by Atime 2025. 1. 18.
반응형

2025 설 명절 종합 대책 발표

  • 2025년 설 명절에 대한 종합 대책이 발표되었다.
  • 이 대책은 민생 안정 경제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명절 장바구니 물가 안정
    2. 민생부담 경감 조치
    3.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4. 24시간 안전 확보 조치

명절 장바구니 물가 안정

  • 명절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 16대 설성수품의 공급량이 역대 최대인 26.5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 배추와 무는 1만 톤 공급 (평시 대비 1.8배 증가)
    • 사과와 배는 4만 톤 공급 (평시 대비 5.6배 증가)
    •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11만 톤 공급 (평시 대비 1.4배 증가)
    • 닭고기와 계란은 1.8만 톤 공급 (평시 대비 1.4배 증가)
    • 수산물 6종은 9만 톤 공급 (평시 대비 1.1배 증가)
  •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이 이루어진다.
    • 주요 성수품에 대해 최대 50% 할인 제공
    • 전통시장 상품권은 20~30% 할인 판매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결제액의 15% 환급 (인당 8만 원 한도)
    • 설 전후(1.10.~2.10.)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3만 원 이상 결제 시, 추첨을 통해 상품권 지급 (1등 100만 원)

민생부담 경감 조치

  • 민생부담 경감을 위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설명절 자금이 역대 최대인 39조 원이 공급된다.
    •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자금 흐름 지원을 위해 신규 자금(대출 및 보증) 공급
  • 근로장려금 체불임금 대지급금이 조기 지급된다.
    • 근로·자녀장려금은 법정 기한보다 조기 지급 (1.16.)
    • 체불 근로자 생계 안정을 위한 대지급금 신속 지급 (1.2.~2.28.)
  • 직접일자리 79만 명 채용된다.
    • 노인 일자리 등 직접일자리 사업이 1월 초에 착수하여 총 79만 명 이상 신속 채용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 임시 공휴일 1월 27일로 지정되었다.
  • 교통 편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 KTX 및 SRT 역귀성 최대 40% 할인
  • 각종 문화시설 무료 개방이 이루어진다.
    • 연휴 기간(1.28.~1.30.) 동안 국가유산 및 미술관 무료 개방

24시간 안전 확보 조치

  • 24시간 안전 확보를 위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 24시간 비상 대응 체계가 운영된다.
    • 항공기 운항 현장 점검 및 공항 등 교통시설 일제 점검
    • 설 연휴 동안 자동차(국내 제작사 차량) 무상 안전 점검 실시
    • 광역 응급의료 상황실 운영 및 문 여는 병원·약국 안내 시스템 구축
  • 사고 예방을 위한 총력 대응이 이루어진다.
    • 명절 기간 다중 이용 시설 중심으로 화재 안전 조사 및 불시 단속 추진
    • 산불 방지 대책본부 운영으로 24시간 상황 관리

저작권 정책 및 이용 안내

  • 저작권 정책에 대한 안내가 포함되어 있다.
  •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 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 이용이 가능하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을 전부 갖고 있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다.

 

운영원칙 및 게시물 관리

  •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특정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될 수 있다.
  • 삭제 또는 차단될 수 있는 게시물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1. 타인의 개인정보를 포함한 경우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는 경우
    4. 욕설 및 비속어 사용
    5. 불법 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
    7.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8. 범죄와 관련된 내용 게시
    9. 공인이나 특정 이슈와 관련된 당사자를 사칭하는 경우
    10. 해당 기사와 관련 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게시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반복 게재
    12.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경우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 요청이 있는 경우

<자료출처=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

반응형